Gemini로 ‘애니 속 학교’ 만들기
“일본 애니메이션 스타일의 예쁜 학교 그려줘.” 많은 사람들이 Gemini 애니메이션 만들기를 할 때 위와 같이 프롬프트를 입력합니다. AI는 물론 멋진 학교 애니메이션를 만들어 줍니다. 하지만 어딘가 영혼 없고 내가 상상했던 ‘애니메이션 속 감성적인 학교’가 주는 감성은 느껴지지 않습니다. 우리가 인터넷에서 보고 감탄하는 마치 한 편의 청춘 영화 스틸컷 같은 애니메이션는 도대체 어떻게 만드는 걸까요?
그 비밀은 AI의 성능이 아닌 AI에게 전달하는 우리의 ‘언어’, 즉 프롬프트에 있습니다. 오늘 이 글은 단순히 “프롬프트를 구체적으로 쓰세요”라는 뜬구름 잡는 조언을 하지 않을 것입니다. 대신, 제가 실제로 사용하여 전문가 수준의 결과물을 얻어낸 ‘프롬프트’를 최초로 공개하고 그 안에 담긴 ‘AI 장면 연출’의 비밀을 낱낱이 해부하고자 합니다.
이 글을 끝까지 읽으신다면 당신은 더 이상 AI에게 그림을 그려달라고 ‘요청’하는 사람이 아닌 카메라 앵글과 빛, 분위기까지 지휘하여 ‘하나의 완성된 장면’을 연출하는 AI 감독이 될 것입니다.
1. 당신의 결과물이 평범한 이유: ‘묘사’를 넘어 ‘연출’로
초보자와 전문가의 가장 큰 차이는, ‘사물’을 묘사하느냐, ‘장면’을 연출하느냐에 있습니다.
- 초보자의 묘사: “고등학교와 학생들” (→ AI는 ‘학교’와 ‘학생’이라는 개별 요소들을 나열할 뿐 그 사이의 관계나 감성을 담아내지 못합니다.)
- 전문가의 연출: “맑은 날, 길 건너편에서 학교를 바라보는 아이 레벨 앵글. 장소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이스태블리싱 샷으로 평화로운 분위기를 자아낸다.” (→ AI는 이제 단순한 화가가 아니라, ‘아이 레벨 앵글’과 ‘이스태블리싱 샷’이라는 감독의 촬영 의도를 이해하는 ‘카메라 감독’이 됩니다.)
AI는 당신이 지시하는 만큼 똑똑해집니다. 이제부터 감독의 언어로 AI에게 말을 거는 법을 배워보겠습니다.
2. 실전 프롬프트 해부 #1: ‘공간’을 소개하는 이스태블리싱 샷
첫 번째 장면은 앞으로 펼쳐질 이야기의 주된 무대가 될 ‘학교’의 전경을 보여주며 시청자의 기대감을 불러일으키는 것입니다.
[실제 사용 프롬프트 #1]
1. 캐릭터의 외모
헤어스타일: 이미지에 캐릭터가 등장하지 않습니다.
얼굴 느낌: 이미지에 캐릭터가 등장하지 않습니다.
의상: 이미지에 캐릭터가 등장하지 않습니다.
2. 배경과 분위기
장소: 일본의 한 고등학교 정문 앞입니다.
색감 및 조명: 맑은 날의 밝은 자연광이 학교 건물과 주변을 비추고 있습니다. 베이지색 건물과 파란 하늘, 녹색 나무가 어우러져 평화롭고 일상적인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애니메이션 스타일: 실제 풍경을 바탕으로 한 듯한 사실적인 배경 묘사가 특징인 2D 애니메이션 스타일(일본 애니메이션풍)입니다.
3. 장면의 내용
캐릭터의 행동: 캐릭터가 없으므로 행동 또한 없습니다. 작품의 주된 배경이 되는 장소(학교)의 전경을 보여주며 공간을 소개하는 장면입니다.
카메라:
앵글: 길 건너편에서 학교를 바라보는 듯한 아이 레벨 앵글(Eye-Level Angle)입니다.
샷 타입: 장소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주어 배경을 설명하는 이스태블리싱 샷(Establishing Shot) 또는 롱 샷(Long Shot)입니다.
원근감: 앞쪽의 도로와 인도부터 교문, 그리고 뒤쪽의 학교 건물까지 자연스러운 원근감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시점: 이 학교를 방문하거나 지나가는 사람의 객관적인 시점입니다.
특수 효과: 특별한 시각 효과는 사용되지 않았으며, 장소를 사실적으로 보여주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연출 의도 분석]
- 구체적인 이름 부여: 이 프롬프트 작성법의 핵심은 ‘도립 고등학교’라는 구체적인 명패를 지시한 것입니다. 이 작은 디테일 하나가, 이 장소가 세상 어딘가에 실재하는 듯한 현실감을 부여하고 단순한 AI 배경 생성을 넘어 ‘이야기가 있는 공간’으로 만들어줍니다.
- 영화적 언어 사용: ‘이스태블리싱 샷’이라는 전문 용어를 사용함으로써 AI에게 이 장면의 ‘목적’이 단순히 풍경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 펼쳐질 이야기의 ‘무대를 설정’하는 것임을 명확히 알려주었습니다. 이는 AI 장면 연출의 퀄리티를 한 차원 높여주는 전문가의 디테일입니다.
3. 실전 프롬프트 해부 #2: ‘분위기’를 담아내는 그룹 샷
두 번째 장면은 ‘수업 중인 나른한 오후의 교실 풍경’을 통해 이 학교에 흐르는 평범하고 일상적인 분위기를 전달하는 것입니다.
[실제 사용 프롬프트 #2]
1. 캐릭터의 외모
헤어스타일: 교실 안의 모든 남학생들이 검은색, 갈색 등 다양한 색과 길이의 헤어스타일을 하고 있습니다.
얼굴 느낌: 대부분의 학생들이 수업이 지루한 듯 턱을 괴거나, 멍하니 있거나, 무표정한 얼굴을 하고 있습니다.
의상: 모두가 흰색 반팔 셔츠를 입고 있으며, 일부는 안에 티셔츠를 받쳐 입는 등 통일된 교복을 입고 있습니다.
2. 배경과 분위기
장소: 일본의 고등학교 교실 내부입니다. 나무 책상과 의자가 줄지어 있고, 뒤쪽에는 사물함과 칠판 일부가 보입니다.
색감 및 조명: 전체적으로 회색과 갈색 톤의 차분한 색감이며, 창문으로 들어오는 부드러운 자연광이 교실을 비추고 있습니다. 평범하고 나른한 오후의 분위기입니다.
애니메이션 스타일: 각 인물들의 개성을 살리면서도 사실적인 교실 풍경을 묘사한 2D 애니메이션 스타일(일본 애니메이션풍)입니다.
3. 장면의 내용
캐릭터의 행동: 모든 학생들이 각자의 책상에 앉아 수업을 듣거나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대부분이 지루함을 느끼는 듯한 정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습니다.
카메라:
앵글: 교실의 한쪽에서 학생들의 눈높이와 비슷한 아이 레벨 앵글(Eye-Level Angle)로 촬영되었습니다.
샷 타입: 교실의 전반적인 분위기와 여러 인물들을 한 번에 보여주기 위한 와이드 샷(Wide Shot) 또는 **그룹 샷(Group Shot)**입니다.
원근감: 앞쪽의 학생부터 뒤쪽의 학생들까지 책상 배열에 따라 자연스러운 원근감이 형성되어 교실의 공간감을 잘 나타냅니다.
시점: 교실에 함께 있는 다른 학생이나 선생님의 시점에서 바라보는 듯한 시점입니다.
특수 효과: 특별한 시각 효과는 없으며, 일상적인 교실의 풍경과 분위기를 사실적으로 담아내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연출 의도 분석]
- 감정의 묘사: 단순히 ‘학생들이 앉아있다’고 지시하지 않고 “수업이 지루한 듯 턱을 괴거나, 멍하니 있거나, 무표정한 얼굴”이라는 구체적인 감정 상태를 묘사했습니다. 이를 통해 AI는 단순한 인물 배치를 넘어 ‘나른한 오후’라는 장면의 핵심적인 분위기를 포착해냅니다.
- 빛의 방향과 색감 지정: “창문으로 들어오는 부드러운 자연광”, “회색과 갈색 톤의 차분한 색감”이라는 지시는 AI가 빛과 색을 통해 ‘시간대(오후)’와 ‘분위기(평온함, 지루함)’를 표현하도록 만드는 감독의 디테일한 연출 지시입니다.
감성 이미지 만들기는 이처럼 빛과 감정을 언어로 설계하는 과정입니다.
결론: 당신의 언어가 곧 붓이다
Gemini 이미지 만들기의 핵심은 내가 보고 싶은 것을 나열하는 ‘묘사’에 있는 것이 아니라 내가 보여주고 싶은 장면을 AI에게 지시하는 ‘연출’에 있습니다.
AI는 세상에서 가장 뛰어난 애니메이션 배경 아티스트이자 촬영 감독입니다. 하지만 이 위대한 스태프들은 감독인 당신의 ‘디렉션’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이제 당신의 머릿속에 있는 학교를 묘사하지 말고 연출하세요.
'Gemini' 카테고리의 다른 글
Gemini를 활용한 청춘물(학교) 애니메이션 만들기 (0) | 2025.10.14 |
---|---|
Gemini를 활용한 원하는 장소 애니메이션 만들기(수족관 편) (0) | 2025.10.13 |
Gemini Pro 이미지 생성 1천 개, 구글이 우리에게 보낸 ‘숨은 메시지’ (0) | 2025.10.12 |
Gemini를 활용한 원하는 장소 애니메이션 만들기(하늘편) (0) | 2025.10.12 |
Gemini를 활용한 원하는 장소 애니메이션 만들기(카페편) (0) | 2025.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