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mini

Gemini를 활용한 원하는 장소 애니메이션 만들기(비 편)

blueberry63358 2025. 10. 15. 14:13

Gemini를 활용한 원하는 장소 애니메이션 만들기(비 편)

“비 오는 날 풍경 그려줘.”
많은 사람들이 Gemini 애니메이션 만들기를 할 때 위와 같이 프롬프트를 입력합니다. AI는 물론 멋진 비 오는 풍경을 만들어 줍니다. 하지만 어딘가 밋밋하고 우리가 상상했던 ‘비의 감성’은 느껴지지 않습니다. 슬픔, 설렘, 고독, 평화… 비라는 테마는 수많은 감정을 담고 있는데 왜 내 AI 그림은 아무런 이야기도 들려주지 않는 걸까요?

오늘 제가 실제로 사용하여 결과물을 얻어낸 ‘프롬프트’를 최초로 공개하고 캐릭터 없이 오직 ‘사물’과 ‘빛’ 그리고 ‘카메라 앵글’만으로 어떻게 더 깊은 서사를 만들어내는지 그 비밀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이 글을 끝까지 읽으신다면 당신은 더 이상 AI에게 그림을 그려달라고 ‘요청’하는 사람이 아닌 장면의 모든 요소를 지휘하여 ‘감성’ 그 자체를 연출하는 AI 감독이 될 것입니다.

1. 연출의 핵심: ‘사물’에 감정을, ‘풍경’에 서사를 부여하라

영화나 애니메이션의 위대한 감독들은 종종 인물 없이도 특정 사물이나 풍경만으로 관객의 마음을 움직입니다. 덩그러니 놓인 우산 두 개에서 우리는 방금 끝난 사랑 이야기를 상상하고 비 내리는 밤거리의 가로등 불빛에서 도시의 고독을 느낍니다.

이것이 바로 ‘보여주기(Showing)’ 스토리텔링의 정수입니다. 감성 프롬프트의 핵심은 AI에게 감정을 직접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그 감정을 느낄 수 있는 ‘장면’을 구체적으로 ‘설계’하여 보여주는 것입니다.

2. 실전 프롬프트 #1: ‘두 개의 우산’으로 이야기의 여운 남기기

첫 번째 장면은 ‘비가 그친 후의 서정적인 여운’을 표현하는 것입니다.

[실제 사용 프롬프트 #1]

1. 캐릭터의 외모

 

헤어스타일: 이미지에 캐릭터가 등장하지 않습니다.

얼굴 느낌: 이미지에 캐릭터가 등장하지 않습니다.

의상: 이미지에 캐릭터가 등장하지 않습니다.

2. 배경과 분위기

 

장소: 비에 젖은 회색 타일 바닥 위입니다. 보도블록이나 계단으로 보입니다.

색감 및 조명: 전체적으로 차분한 회색 톤의 배경 위에 선명한 노란색 우산과 짙은 남색 우산이 놓여 시선을 집중시킵니다. 비가 그친 후 햇살이 비스듬히 들어오는 듯, 바닥과 우산 표면에 빛이 반사되고 있습니다. 차분하고 서정적인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애니메이션 스타일: 젖은 바닥의 질감, 우산에 맺힌 물방울, 빛의 반사 등 세밀하고 사실적인 묘사가 돋보이는 2D 애니메이션 스타일(일본 애니메이션풍)입니다.

3. 장면의 내용

 

캐릭터의 행동: 캐릭터가 없으므로 행동 또한 없습니다. 대신, 바닥에 놓인 두 개의 우산이 어떤 사건이나 관계가 있었음을 암시하는 역할을 합니다.

카메라:

앵글: 위에서 아래로 비스듬히 내려다보는 하이 앵글(High Angle) 구도입니다.

샷 타입: 두 개의 우산과 주변 바닥을 함께 보여주는 미디엄 샷(Medium Shot)입니다.

원근감: 노란 우산을 전경에, 남색 우산을 후경에 배치하여 자연스러운 깊이감과 원근감을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시점: 특정 인물의 시점이라기보다는 상황을 객관적으로 보여주는 관찰자 시점입니다.

특수 효과: 바닥에 반사되는 빛(렌즈 플레어 효과 포함), 우산 표면에 맺혀 반짝이는 물방울 등을 통해 비 온 뒤의 촉촉하고 맑은 분위기를 효과적으로 연출하고 있습니다.

[연출 의도 분석]

  • 사물의 상징성:프롬프트 작성법의 핵심은 ‘두 개의 우산’입니다. 인물은 없지만, 이 두 개의 우산은 방금 전까지 이곳에 두 사람이 함께 있었으며 어떤 이야기가 펼쳐졌음을 강력하게 암시합니다. 보는 이의 상상력을 자극하여 스스로 이야기를 만들게 하는 고도의 연출 기법입니다.
  • 빛으로 시간과 감정을 묘사: “비가 그친 후 햇살이 비스듬히 들어오는 듯”이라는 묘사는 장면의 ‘시간적 배경(비가 막 그친 직후)’과 ‘감성적 분위기(고요함, 서정성)’를 동시에 설정합니다.
  • 앵글의 역할: ‘하이 앵글’은 관객을 객관적인 ‘관찰자’의 위치에 놓음으로써 이 장면에 담긴 사적인 이야기에 대한 아련함과 여운을 더욱 증폭시키는 효과를 줍니다.

프롬프트로 만든 비 영상
프롬프트로 만든 비 영상

3. 실전 프롬프트 #2: ‘밤과 비’로 도시의 고독을 노래하다

두 번째 장면은 캐릭터 없이 ‘비 오는 밤 도시의 몽환적인 분위기’ 그 자체를 담아내는 것입니다.

[실제 사용 프롬프트 #2]

1. 배경과 분위기

장소: 올려다본 비오는 밤하늘 아래의 도시 풍경입니다. 주변에는 건물 일부가 어렴풋이 보입니다.

색감 및 조명: 어두운 푸른색의 밤하늘과 밝게 빛나는 불빛이 대비를 이루고 있습니다. 주변 건물들은 어둡게 표현되어 비에 시선이 집중됩니다. 차분하면서도 도시적인 분위기입니다.

애니메이션 스타일: 밝고 화사한 색감과 부드러운 구름 표현이 특징적인 일본 애니메이션 스타일입니다. 깨끗하고 몽환적인 분위기를 연출합니다.

2. 장면의 내용

캐릭터의 행동: 특별한 움직임은 보이지 않고, 고정된 시점에서 비오는 밤거리의 풍경을 보여줍니다.

카메라: 아래에서 위로 올려다보는 로우 앵글 샷(Low Angle Shot)입니다.

특수 효과: 비오는 밤하늘의 구름 표현이 시각적인 재미를 더합니다.

[연출 의도 분석]

  • 색감과 대비: ‘어두운 푸른색’과 ‘밝게 빛나는 불빛’의 강한 대비는 도시의 화려함과 그 이면의 고독감을 동시에 표현하는 클래식한 연출입니다. 이 지시를 통해 배경 애니메이션은 단순한 야경이 아닌 감정이 담긴 장면을 그려냅니다.
  • 앵글의 의도: ‘로우 앵글’로 밤하늘을 올려다보는 구도는 보는 이로 하여금 거대한 도시 속 작은 존재가 된 듯한 느낌을 주며 장면의 몽환적인 분위기와 도시적 감성을 극대화합니다.

프롬프트대로 만든 비와 도시 영상
프롬프트대로 만든 비와 도시 영상

감성 애니메이션 만들기는 이처럼 빛과 앵글을 통해 감정을 설계하는 과정입니다.

 

결론: 당신의 언어가 곧 감성이다

Gemini 활용법의 정수는 단순히 애니메이션을 생성하는 것을 넘어 나의 감성과 서사를 AI가 이해할 수 있는 ‘연출의 언어’로 번역하는 데 있습니다.

캐릭터의 표정 없이도 우리는 잊힌 우산 하나로 사랑의 여운을 쏟아지는 비 한 줄기로 도시의 고독을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