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캐릭터 일관성: ‘정체성 앵커’로 같은 주인공 계속 만드는 법
지난 글들을 통해 우리는 AI를 감독처럼 지휘하여 감성적인 장면을 연출하고 ‘그린스크린’ 기법으로 배우와 배경을 분리하여 작업 효율을 극대화하는 전문가의 워크플로우를 배웠습니다. 하지만 많은 분들이 가장 큰 벽에 부딪힙니다. 바로 AI 캐릭터 일관성 문제입니다. “1번 장면의 주인공과 2번 장면의 주인공이 다른 사람 같아요!”
이 고질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우리의 이야기는 결코 생명력을 가질 수 없습니다. 오늘 이 글은 그동안 우리가 배운 모든 기술을 집대성하여 AI 얼굴 고정 문제를 해결하고 동일한 애니메이션 주인공이 여러 장면에서 일관된 감정 연기를 펼치게 만드는 ‘최종 비법’을 공개하는 마스터클래스입니다.
제가 실제로 ‘비 오는 날의 소년’이라는 주인공을 만들기 위해 사용한 프로급 프롬프트를 낱낱이 해부하며 당신의 1인 애니메이션 스튜디오를 완성할 마지막 퍼즐 조각을 맞춰드리겠습니다.
1. 일관성의 핵심: ‘정체성 앵커’와 ‘의도적 생략’의 재확인
AI 캐릭터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두 가지 핵심 전략을 다시 한번 상기해 봅시다.
- 정체성 앵커 (Identity Anchor): 캐릭터의 ‘절대 변하지 않는 특징’을 매우 구체적인 텍스트로 정의하여 모든 프롬프트에 동일하게 삽입하는 것입니다.
- 의도적 생략 (Intentional Omission): AI가 가장 표현하기 어려워하고 그래서 가장 비일관적으로 그리는 부위(주로 ‘눈’)를 의도적으로 가리거나 생략하여 AI의 실수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보는 이의 상상력으로 캐릭터를 완성하게 만드는 고도의 연출 기법입니다.
오늘 우리가 만들 주인공은 바로 이 두 가지 전략을 완벽하게 적용한 예시입니다.
2. 1단계 (배우 설계): 주인공의 DNA 코드, ‘정체성 앵커’ 만들기
모든 위대한 연기는 위대한 캐릭터에서 시작됩니다. 저는 이번 애니메이션 주인공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정체성 앵커’를 설계했습니다. 이는 앞으로 우리가 만들 모든 장면에 동일하게 적용될 핵심적인 프롬프트 작성법입니다.
[주인공 ‘정체성 앵커’]
1. 캐릭터의 외모
헤어스타일: 눈높이까지 덮은 앞머리에 검은색 머리카락 양옆으로도 부드럽게 흘러내리고 있습니다.
얼굴 느낌: 눈높이까지 덮은 앞머리 남자이다
의상: 검은색 교복 상의를 입고 오른손에는 검은색 우산을 쓰고 있다
2. 배경과 분위기
장소: 초록 크로마키 앞
색감 및 조명: 섬세하고 부드러운 선 처리와 맑고 투명한 색감이 특징적인 일본 애니메이션 스타일입니다.
3. 장면의 내용
캐릭터의 행동: 크로마키 앞에서 우산을 쓰고 걷고있다가 뒤를 돌아본다
카메라: 초록 크로마키 앞에 있는 주인공을 가까이에서 얼굴 높이에서 찍는다
보시다시피 ‘눈을 덮은 긴 앞머리’라는 설정을 통해 ‘의도적 생략’ 기법을 사용했으며 ‘검은색 교복’과 ‘검은색 우산’이라는 소품을 통해 캐릭터의 시그니처 스타일을 명확히 했습니다.
3. 2단계 (연기 연출): 두 개의 장면, 두 개의 감정
이제, 이 동일한 캐릭터를 가지고 서로 다른 두 개의 장면을 연출하여 그의 감정선을 따라가 보겠습니다. 모든 장면은 ‘AI 그린스크린’ 앞에서 촬영하여 나중에 원하는 배경과 합성할 수 있도록 합니다.
[실전 촬영 #1: 뒤돌아보는 찰나의 연기] 이 장면은 무언가에 이끌리듯 뒤를 돌아보는 미묘하고 서정적인 감정을 포착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1. 캐릭터의 외모
헤어스타일: 눈높이까지 덮은 앞머리에 검은색 머리카락 양옆으로도 부드럽게 흘러내리고 있습니다.
얼굴 느낌: 눈높이까지 덮은 앞머리 남자이다
의상: 검은색 교복 상의를 입고 오른손에는 검은색 우산을 쓰고 있다
2. 배경과 분위기
장소: 초록 크로마키 앞
색감 및 조명: 섬세하고 부드러운 선 처리와 맑고 투명한 색감이 특징적인 일본 애니메이션 스타일입니다.
3. 장면의 내용
캐릭터의 행동: 크로마키 앞에서 우산을 쓰고 걷고있다가 화면을 바라본다
카메라: 초록 크로마키 앞에 있는 주인공을 가까이에서 얼굴 높이에서 찍는다
[실전 촬영 #2: 화면을 응시하는 교감의 연기] 이 장면은 캐릭터가 관객과 직접 눈을 맞추는 듯한 더 직접적인 교감을 유도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이처럼, ‘정체성 앵커’는 그대로 유지한 채 ‘캐릭터의 행동’ 부분만 수정하면 우리는 동일한 캐릭터의 다른 연기를 얼마든지 연출해 낼 수 있습니다.
4. 3단계 (생명 불어넣기): ‘정적인 장면’을 ‘움직이는 감정’으로
이제 Gemini 애니메이션 제작의 가장 마법 같은 순간입니다. 앞서 설계한 정적인 장면에 ‘움직임’이라는 영혼을 불어넣어 보겠습니다. 기존 프롬프트의 ‘캐릭터의 행동’ 부분만 다음과 같이 수정하면 됩니다.
[#장면 1 영상 변환 프롬프트]
캐릭터의 행동: 크로마키 앞에서 우산을 쓰고 천천히 걷다가 무언가 들린 듯 부드럽게 고개를 돌려 뒤를 돌아본다.
[#장면 2 영상 변환 프롬프트]
캐릭터의 행동: 크로마키 앞에서 우산을 쓰고 걷다가 멈춰 서서, 천천히 고개를 들어 정면(화면)을 응시한다. 빗방울이 우산에 부딪히는 것이 보인다.
이처럼, 기존 프롬프트의 ‘상황 묘사’를 ‘행동 묘사’로 바꾸고 영상 길이를 지정하는 것만으로 우리는 일관성이 유지되는 두 개의 AI 캐릭터 영상 클립을 얻게 됩니다.
결론: 당신의 캐릭터는 당신의 연출력을 기다린다
AI 캐릭터 일관성 문제는 더 이상 넘을 수 없는 벽이 아닙니다. ‘정체성 앵커’로 캐릭터의 DNA를 고정하고, ‘의도적 생략’으로 AI의 실수를 가려주며, ‘그린스크린’으로 배우와 무대를 분리하는 체계적인 연출 전략만 있다면, 누구나 자신만의 애니메이션 주인공을 창조하고 그와 함께 울고 웃는 이야기를 만들어나갈 수 있습니다.
AI는 당신의 이야기를 그려줄 가장 뛰어난 배우입니다. 이제, 당신의 첫 번째 배우에게 연기를 지시할 시간입니다.
'Gemini'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캐릭터 일관성의 비밀, ‘얼굴을 가리는’ 용기 (0) | 2025.10.16 |
---|---|
Gemini를 활용한 그린스크린 활용한(카페 알바 여주인공) 애니메이션 만들기 (0) | 2025.10.15 |
AI 그린스크린: ‘배우’와 ‘배경’을 분리하는 전문가의 애니메이션 제작법 (0) | 2025.10.15 |
Gemini를 활용한 원하는 장소 애니메이션 만들기(비 편) (0) | 2025.10.15 |
Gemini를 활용한 청춘물(주인공 만들기) 애니메이션 만들기 (0) | 2025.10.14 |